'글로벌 IT 뉴스'에 해당되는 글 1093건

  1. 2016.08.05 AMD 폴라리스 라데온 RX470, RX460 공식 발표 by 랩터 인터내셔널
  2. 2016.08.04 1주년 기념 윈도우10 애니버서리 업데이트 제공 시작 by 랩터 인터내셔널
  3. 2016.08.04 엑셀 데이터와 함수를 커스텀 앱으로, Excel REST API by 랩터 인터내셔널
  4. 2016.08.04 [핸즈온 영상] 갤럭시 노트7, 써봤습니다 by 랩터 인터내셔널
  5. 2016.07.30 마이크론MX 300 시리즈에 1050GB 모델 등 추가 by 랩터 인터내셔널
  6. 2016.07.29 샤오미 노트북 등장, 맥북 에어에 대항하는 13.3형 노트PC by 랩터 인터내셔널
  7. 2016.07.29 카비레이크와 아폴로레이크용 그래픽 드라이버 공개 by 랩터 인터내셔널
  8. 2016.07.29 플렉스터 NVM Express SSD, M8Pe 공식 발표 by 랩터 인터내셔널
  9. 2016.07.29 AMD, 그래픽카드에 SSD를 올린 라데온 프로 SSG 발표 by 랩터 인터내셔널
  10. 2016.07.24 인텔 카비레이크 출하 시작 - KabyLake-U/Y by 랩터 인터내셔널
01_s.jpg

NITRO+ RADEON RX 470 8G/4G


미국 AMD는 4일(현지 시간) 폴라리스 아키텍처를 채택한 비디오 카드의 하위 모델 "Radeon RX 470" 및 "Radeon RX 460"을 공식 발표했다.


라데온 RX 470은 이미 투입된 480의 하위 모델이며 SP수는 2,048기, 베이스 클럭 926MHz, 부스트 클럭 1,206MHz, 피크 연산 성능은 4.9TFLOPS. 메모리는 GDDR5로 버스폭은 256bit, 클럭은 6,600MHz 대, 밴드폭은 211GB/sec, TDP는 120W.


라데온 RX 460은 폴라리스11 이라 불리는 소형 다이를 채용한 모델. SP수는 896기, 베이스 클럭은 1,090MHz, 부스트 클럭은 1,200MHz, 피크 연산 성능은 2.2TFLOPS. 메모리는 GDDR5로 버스폭은 128bit, 클럭은 7,000MHz 대, 밴드폭은 112GB/s, TDP는 75W 이하.


출처 - http://pc.watch.impress.co.jp/docs/news/1013928.html

반응형
Posted by 랩터 인터내셔널

윈도우 디펜더, 윈도우 헬로우 생체 인증 추가 지원 등 다양한 보안 기능 향상

윈도우 정보 보호, 윈도우 디펜더 ATP 등 새로운 보안 기능 추가기업용 구독 방식 라이선스는 E3와 E5로 재편마이크로소프트 엣지, 코타나 등 다양한 기존 기능 향상 및 윈도우 잉크, 엑스박스와 통합된 윈도우 스토어 등 새로운 기능 대거 탑재


2016년 8월 3일 – 마이크로소프트는 오늘부터 윈도우 10 출시 1주년 기념 대규모 업데이트(Windows 10 Anniversary Update)가 제공된다고 밝혔다.


윈도우 10은 출시 이후 지금까지 약 3억 5천만대 이상의 디바이스에 설치되었으며, 이는 윈도우 7 대비 145% 이상 빠른 증가 추세다. 기업과 교육 기관에서 사용되는 윈도우 10 디바이스는 2천2백만 대에 달하며, 엔터프라이즈 고객 중 96%가 윈도우 10 도입을 테스트하고 있다.


윈도우 10 출시 1주년을 맞아 전세계 윈도우 10 사용자들에게 무료로 제공되는 이번 업데이트는 항상 최신의, 최상의 윈도우를 제공하겠다는 마이크로소프트의 노력의 일환이다.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윈도우 잉크(Windows Ink), 코타나(Cortana), 게이밍 지원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이 개선되거나 새롭게 추가 되었으며, 윈도우 디펜더(Windows Defender) 및 윈도우 정보 보호 기능 등 윈도우 역사상 가장 강력한 보안 기능을 갖췄다.


최근 증가하는 사이버 위협에 대비한 강력한 보안 기능 추가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악성코드 탐지 및 방지를 위한 윈도우 디펜더(Windows Defender) 기능에 안전한 PC 환경을 보장하고 최신 업데이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주기적인 PC 퀵 스캔이 예약되는 옵션이 추가됐다. 또한,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생체인식 로그인 기능인 윈도우 헬로우(Windows Hello)는 윈도우 뿐 아니라 엣지를 비롯한 다양한 앱을 지원하게 된다. 생체 인식 센서가 없는 디바이스라도, 웨어러블 디바이스 혹은 기업에서 인증한 폰 혹은 사원증 등을 활용해 윈도우 헬로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세팅할 수 있다.


또한, 엔터프라이즈 고객들을 위해 라이선스 형태가 E3(기존 SA)와 E5로 재편됐다. 윈도우 10 프로 에디션 이상의 라이선스를 보유한 고객은 이번 업데이트에서 새롭게 출시된 윈도우 정보 보호 (Windows Information Protection, WIP)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WIP는 기업의 데이터를 기업용/개인용으로 나누어 관리, 더욱 강력한 보안 체계를 갖출 수 있는 기능이다. 새롭게 출시된 E5 라이선스를 보유한 고객들은 마이크로소프트 최정예 보안팀이 투입되어 관리하는 악성코드 탐지 및 방지 솔루션인 윈도우 디펜더 ATP(Windows Defender Advanced Threat Protection, WDATP)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E3 라이선스에는 이외에도 디바이스 가드(Device Guard), 크레덴셜 가드(Credential Guard), 앱-V(App-V) 등 엔터프라이즈급 보안 및 관리 기능도 함께 포함되며, E5 모델은 E3에 해당되는 모든 기능에 윈도우 디펜더 ATP가 함께 제공된다.


한편, 윈도우 7은 마이크로소프트 지원 주기 정책에 따라 지난 2016년 1월 13일자로 일반 지원이 종료되었으며, 2020년 1월 14일 추가 지원까지 완전히 종료될 예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안전한 PC 사용을 위해 지원 종료 시점 이전에 상위 버전의 윈도우로 전환이 권장된다.


윈도우 잉크,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코타나, 게이밍 등 다양한 기능 추가


이 외에도 사용자들을 위한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인 기능들이 대거 추가됐다. 이번 업데이트에 새롭게 추가되는 윈도우 잉크 기능은 종이와 펜으로 하는 일상적인 펜 작업들을 윈도우 상에서 쉽고 자연스럽게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필기를 위한 앱을 따로 찾아서 실행하지 않아도 원하는 때에 바로 스크린 상에 필기하거나 아이디어를 스케치를 할 수 있다. 펜과 터치스크린이 지원되는 디바이스에서 펜 뒤를 클릭하거나 시스템 트레이의 ‘윈도우 잉크 워크스페이스(Windows Ink Workspace)를 누르면 윈도우 잉크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앱 목록이 표시되므로 손쉽게 시작할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브라우저는 PC 배터리를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전력 효율성이 더욱 향상되었으며, 핀터레스트(Pinterest)의 저장 버튼, 아마존 쇼핑도우미, 애드블록(AdBlock) 등 필요한 기능들을 윈도우 스토어에서 선택하여 엣지에 추가할 수 있다.


코타나는 디바이스 스크린 잠금 상태에서도 실행 가능 해졌다. 즉, 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코타나에게 질문을 하거나, 음악을 재생하고 알람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코타나가 자주 이용하는 항공 정보나 공항에서 주차된 위치와 같은 주요 정보를 기억해 두었다가 먼저 알려주기도 하며, 더 시각적인 정보를 위해 사진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스토어가 하나로 통합됐다. 이를 통해 게이머들은 윈도우 10과 Xbox에서 게임은 물론 즐겨 찾는 앱, 영화, 음악 등을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새로워진 윈도우 스토어는 원하는 컨텐츠를 더 빠르고 간편하게 검색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단순해 졌으며, 번들 및 예약 주문 기능 등을 제공한다. 특히, 엑스박스 플레이 애니웨어(Xbox Play Anywhere) 프로그램을 통해 한번 구매한 게임을 윈도우 10 PC 및 엑스박스 원(Xbox One)에서 플레이할 수 있으며, 게임 저장 데이터나 플레이한 내용도 모두 공유된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 마케팅 오퍼레이션즈 사업본부 조용대 이사는 “윈도우 10은 전세계 550만명이 넘는 사용자들의 피드백을 반영한 버전” 이라며, “앞으로도 보다 많은 사용자들이 윈도우 10을 통해 항상 최신 기능과 최상의 보안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보도 - 마이크로소프트

반응형
Posted by 랩터 인터내셔널



마이크로소프트가 Excel REST API를 정식으로 발표 했습니다.


발표된 Excel REST API를 활용하면 개발자는 커스텀 앱에서 단순한 HTTP 콜에서 Excel의 함수나 각종 기능을 호출 처리에 이용할 수 있으며 오피스 365 클라우드 상에 저장된 엑셀의 학습장에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데이터를 집계하고 분석하여 그래프를 생성하고 리포팅이나 대시 보드 등에 활용이 가능하며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랩터 인터내셔널

[ 보도 - 삼성전자 ] 삼성전자가 2일(현지 시각) 미국 뉴욕에서 삼성 갤럭시 언팩(Samsung Galaxy Unpacked, 이하 ‘언팩’)을 열고 ‘갤럭시 노트7’을 공개했습니다. 갤럭시 노트 시리즈의 트레이드마크인 S펜과 삼성전자만의 듀얼 엣지 디스플레이 디자인이 만난 갤럭시 노트7, 삼성전자 뉴스룸이 발 빠르게 써봤습니다. 기사 사이사이 곁들인 핸즈온 영상도 함께 감상하세요!

 

디자인_정교한 만듦새로 상하좌우 ‘완벽 대칭’ 구현

갤럭시 노트7에서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건 전∙후면 모두 적용된 커브드 디자인입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노트7에서 처음으로 듀얼 엣지 디스플레이를 적용했는데요. 갤럭시 노트7은 전작 갤럭시 노트5와 마찬가지로 5.7형 대화면을 탑재했지만 듀얼 엣지 디스플레이 덕분에 시각적으로 한층 유려해졌을 뿐 아니라 실제 제품을 쥐는 느낌, 일명 ‘그립(grip)감’도 향상됐습니다. 삼성전자 스마트폰 중 최초로 홍채 인식 전용 카메라와 IR LED를 탑재하고도 가로 폭(73.9㎜)이 전작보다 2.2㎜ 줄어든 점도 주목할 만합니다.

노트써보니01


제품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정교해진 디자인이 더욱 실감납니다. 갤럭시 노트7은 후면에도 전면 엣지 디스플레이와 동일한 곡률이 적용돼 상하좌우뿐 아니라 전∙후면도 완벽한 대칭을 이룹니다. 또한 전∙후면의 글래스와 메탈 프레임은 서로 다른 소재인데도 만나는 부분의 높낮이 차이가 거의 없어 매끄럽게 연결됩니다. 갤럭시 시리즈 고유의 디자인을 계승하면서도 섬세한 가공 작업을 거듭해 완성도를 한층 끌어올린 거죠.

노트써보니02


갤럭시 노트7은 △블루 코랄 △블랙 오닉스 △실버 티타늄 △골드 플래티넘 등 네 가지 색상으로 선보입니다. 이중 블루 코랄 모델은 이번에 새롭게 등장, 눈길을 끕니다. 최신 컬러 트렌드를 반영해 차분하면서도 긍정적인 느낌을 주죠. 특히 프레임엔 골드 색상을 적용, 낯선 듯 새로운 느낌을 자아냅니다. 사용자 경험(UX) 디자인도 새로워졌습니다. 전반적으로 부드러운 색상이 쓰였고 애플리케이션(이하 ‘앱’) 아이콘 모서리는 둥글게 통일돼 시각적으로 한결 편안해진 거죠. 배경화면 또한 색상별로 제품과 어우러지는 이미지가 적용됐는데요. 특히 ‘기기 기울이는 각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인터랙티브 모션 월페이퍼는 사용자에게 색다른 재미를 선사합니다.


 

S펜_방수∙번역기∙돋보기∙메모장∙캔버스… 그야말로 ‘요술봉’

갤럭시 노트7의 S펜은, 말하자면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요술봉’입니다.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방수∙방진 기능을 적용했다는 건데요. 실제로 S펜을 물에 담갔다 꺼낸 후 역시 물 묻은 갤럭시 노트7 위에 글씨를 써봤더니 문제 없이 필기가 가능했습니다. 손을 씻고 물기가 채 마르지 않은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터치할 때, 혹은 비 오는 날 급히 스마트폰을 꺼내 쓸 때처럼 평소 불편했던 경험을 떠올려보면 매우 편리한 기능이죠. 갤럭시 노트7은 본체와 S펜 모두 IP68 수준의 방수 성능을 갖췄습니다. 여기에 S펜은 물에 영향을 받지 않는 전자기 유도 방식(Electro Magnetic Resonance)으로 작동, 필기까지 가능해진 거죠.



갤럭시 노트7 S펜의 펜팁(pen tip, 펜 끝) 지름은 0.7㎜. 전작(1.6㎜)의 절반 이하로 줄어 실제 필기구와 유사해졌습니다. 펜팁이 스마트폰 화면을 누르는 순간의 압력, 즉 필압(筆壓) 역시 이전 제품의 두 배 수준인 4096단계를 인식해 한층 정교하고 자연스러운 필기가 가능해졌습니다. 그 밖에 S펜 버튼은 무심코 잘못 누르지 않도록 좀 더 위쪽에 자리 잡았고, 메뉴에서 지우개를 따로 선택하지 않아도 버튼만 누르면 지우개로 쓸 수 있어 더 편리해졌습니다.


노트써보니03


갤럭시 노트5에서 선보인 꺼진 화면 메모(Screen off memo)는 Always On Display로 사용성이 확장됐습니다. 실제로 S펜을 뽑아 들자 꺼진 화면 상태에서 바로 메모가 가능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적어둔 내용은 마치 포스트잇을 붙여 놓듯 꺼진 화면에 계속 표시해둘 수 있었습니다. 쇼핑 목록이나 급히 처리해야 하는 업무 사항 등을 적어두면 매우 유용하겠죠? 메모는 최대 1시간 동안 띄워놓을 수 있으며, 나중에도 Always On Display에 다시 표시하거나 삼성 노트(Samsung Notes) 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노트써보니04


갤럭시 노트7에선 번역기와 돋보기, GIF 파일 캡처 등 S펜 특화 기능이 늘었습니다. 번역기를 실행한 후 S펜을 특정 단어에 갖다 대면 화면에 자동으로 번역 결과가 떠오르는데요. PC에서 마우스를 활용해 사용하던 기능을 갤럭시 노트7에선 S펜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 겁니다. 스마트폰에서 단어 뜻을 찾으러 사전 앱을 왔다 갔다 하지 않아도 되니 무척 편리하겠죠? S펜은 광학식 문자 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방식으로 글자를 인식하기 때문에 웹페이지나 문서뿐 아니라 이미지 내 단어까지 파악, 번역해주는데요. 돋보기 기능을 이용하면 핀치줌이 불가능한 모바일용 웹페이지에서도 원하는 부분을 확대해 볼 수 있습니다. 스마트 셀렉트엔 애니메이션 캡처 기능이 추가됐는데요. 동영상을 보면서 S펜으로 원하는 부분을 드래그해 손쉽게 GIF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일명 ‘움짤’ 사진을 간편하게 제작, 공유할 수 있으니 모바일 메신저 대화가 한층 즐거워지겠네요.



갤럭시 노트7은 이전 제품과 마찬가지로 만년필과 연필, 캘리그래피 펜 등 다양한 펜 기능을 지원합니다. 여기에 미술 붓 종류도 획기적으로 강화됐죠. 수채화∙유화 등 7종(種)의 브러시로 그림을 그릴 수 있는데요. 특히 유화 붓은 마치 실제 물감으로 채색하듯 붓을 터치할 때마다 색상이 섞이는 효과까지 구현됩니다. 스마트폰에서 다양한 이미지를 직접 꾸미는 젊은 소비자, 그림∙디자인을 즐기는 창의적 소비자라면 갤럭시 노트7을 캔버스 삼아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보안_홍채 인식 기능 탑재로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갤럭시 노트7은 삼성전자 스마트폰 중 처음으로 홍채 인식 기능을 지원합니다. 이를 위해 갤럭시 노트7 개발진은 기기 전면 상단부에 홍채 인식 전용 카메라와 적외선(IR) LED를 탑재했는데요. 등록 절차는 간단합니다. 기기가 안내하는 대로 스마트폰 화면을 바라보며 두 눈을 인식하면 스마트폰에서 고유한 홍채 패턴 정보를 암호화해 삼성전자의 모바일 보안 플랫폼 녹스(KNOX) 내 보안 영역(트러스트존)에 저장합니다. 이후 잠금 화면이나 보안 폴더(Secure Folder) 등을 열 때도 스마트폰 화면을 바라보는 동작으로 간단히 인증할 수 있죠. 두 눈이 스마트폰 화면에 나타나는가 싶으면 곧이어 인증돼 체감 속도가 빨랐습니다.



보안 폴더는 녹스와 결합, 사용자의 사생활을 완벽하게 보호해줍니다. 은행 보안 카드나 여권 정보 등 사용자 개인정보는 물론이고 이미지∙동영상 같은 미디어 파일, 다운로드한 앱 등도 별도의 보안 폴더 공간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친구에게 사진을 보여주며, 혹은 아이에게 잠시 스마트폰을 내어주며 어쩐지 불안했던 경험 있으셨을 텐데요. 혼자만 보고 싶은 정보나 중요한 업무 자료가 있다면 손쉽게 보안 폴더를 설정, 이용해보세요. 보안 폴더는 폴더명을 바꿀 수도, 폴더 자체를 아예 숨길 수도 있는데요. 여기에 홍채 인식까지 결합되면 스마트폰에 ‘나만의 완벽한 비밀 공간’이 만들어집니다.


노트써보니05


갤럭시 노트7은 지문 인식에 홍채 인식 기능까지 채택, ‘손이 불필요한’ 초강력 보안성을 확보했습니다. 이는 아이디(ID)와 비밀번호 입력 절차를 대체할 수 있는 ‘삼성 패스(Samsung Pass)’에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갤럭시 노트7에 기본으로 탑재된 삼성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웹사이트 접속 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대신 홍채 인식으로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로그인할 수 있는 거죠. 매번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할 필요가 없고 웹사이트마다 다르게 설정했던 비밀번호를 기억해내느라 애쓰지 않아도 됩니다. 홍채 인증은 삼성 페이 결제 시 이용할 수 있으며, 모바일 뱅킹에 적용할 경우 계좌 이체 등 각종 서비스 이용도 한층 간편해집니다. 삼성전자는 삼성 패스 활용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처를 확대하기 위해 신한은행∙우리은행∙KEB하나은행 등 국내 주요 은행을 포함, 뱅크오브아메리카∙시티은행∙US뱅크 등 미국 은행들과도 협력을 진행 중입니다.  

 

기타_카메라∙메모리∙배터리… 더 탄탄해진 ‘기본’

갤럭시 노트7은 삼성전자의 전략 스마트폰답게 갤럭시 시리즈의 막강한 성능을 두루 담고 있습니다. 우선 갤럭시 S7에 이어 듀얼 픽셀 카메라를 탑재, 빠른 오토포커스(AF)로 원하는 순간을 포착할 수 있는데요. 여기에 F1.7의 밝은 렌즈는 낮은 조도에서도 보다 선명한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도와줍니다. 또한 카메라 모드에서 화면을 △왼쪽으로 밀면 ‘촬영 효과’가 선택되고 △오른쪽으로 밀면 ‘촬영 모드’가 설정되며 △위로 밀면 셀피(selfie) 기능이 실행되는 등 조작이 한층 간편해졌습니다.


노트써보니06


갤럭시 노트7의 내장 메모리는 32GB와 64GB 두 종류였던 이전 모델과 달리 64GB가 기본으로 제공되는데요. 외장 메모리도 최대 256GB까지 이용할 수 있어 저장 공간 걱정 없이 풍부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습니다. 256GB는 (시스템 저장 공간에 따라 달라지긴 하겠지만) 단순히 계산하면 △2MB 이미지 16만 매 △4MB MP3 8만 곡 △2GB 영화 160편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입니다.

 노트써보니07


갤럭시 노트7은 제품 크기를 늘리지 않으면서도 갤럭시 노트5(3000mAh)보다 용량이 큰 3500mAh 배터리를 탑재하는 데 성공했는데요. 여기에 4GB 램(RAM)과 역시 전작보다 향상된 옥타코어 프로세서(2.3GHz 쿼드+1.6GHz 쿼드)까지 채택, 다양한 기능을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삼성 스마트폰 중 처음으로 USB 타입-C 포트를 지원, 위아래 구분 없이 케이블을 끼울 수 있죠.


갤럭시 노트7의 매력은 실제로 만져봤을 때 비로소 체감됩니다. 최신 기술을 빠짐없이 담아내면서도 S펜 특유의 감성과 디자인으로 무장한 갤럭시 노트의 진가, 갤럭시 노트7로 다시 한 번 확인해보세요.

반응형
Posted by 랩터 인터내셔널
1_s.png

MX300 시리즈 (2.5인치 모델)


마이크론은 크루셜 브랜드 SSD "MX300"시리즈에 용량 275GB/525GB/1,050GB 모델을 추가하고 30일부터 발매한다. 가격은 오픈 프라이스.


6월 중순 투입된 MX300 시리즈는 이때 750GB 모델만 발매됬다. 이번에 새로운 용량 라인업으로 3D TLC NAND를 채용한 저가형으로 275GB / 525GB / 1050GB 모델이 추가.


폼 팩터는 2.5인치이며 275GB 모델만 M.2도 준비. 컨트롤러는 Marvell "88SS1074"에 Crucial커스텀 펌웨어를 탑재, 인터페이스는 SATA 6Gbps. 전송 속도는 275GB 모델이 읽기 530MB/s, 쓰기 500MB/s, 525GB 및 1050GB 모델이 각각 530MB/s, 510MB/s.


독자 유틸리티 "Storage Executive"를 다운로드해 이용이 가능하고 이 유틸리티에서 "Momentum Cache" 기능을 유효하게 하면 버스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2_s.png
MX300 시리즈 (M.2 모델)

출처 - http://pc.watch.impress.co.jp/docs/news/1012427.html

반응형
Posted by 랩터 인터내셔널



중국 샤오미는 베이징에서 개최된 행사에서 경량 노트북 PC "Mi Notebook Air"를 발표했다.


제품 명칭에서 애플의 MacBook Air를 의식한 제품임을 알수 있으며 얇고 가벼움을 추구한 13.3형과 12.5형 2가지 모델을 투입한다.


13.3형 Mi Notebook Air 13.3의 가격은 약 4,999위안. 본체 색은 골드와 실버 2가지로 이 가격에 외장형 GPU GeForce 940MX를 탑재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SSD 증설용 확장 슬롯을 마련하는 등 독자적인 실장도 도입하고 있다.


주요 사양은 CPU에 Core i5-6200U(2.3GHz), GPU는 GeForce 940MX, 메모리 8GB, NVMe SSD 256GB, 13.3인치 풀HD(1920×1080) 디스플레이, OS는 윈도우10.


인터페이스는 USB 3.0 ×3(1기는 USB Type-C), IEEE 802.11ac, Bluetooth 4.1, HDMI 출력, SSD 확장 슬롯, 음성 입출력 등을 장비.


본체 크기는 309.6×210.9×14.8mm(폭×두께×높이), 무게는 1.28kg. 배터리 구동 시간은 최대 8시간으로 30분 충전으로 50% 충전이 가능하다.


12.5형 Mi Notebook Air 12.5는 약 3,499위안. 외부 GPU는 탑재하지 않고 13.3형과 같이 컬러 라인업은 골드와 실버. 본체 두께는 12.9mm로 상당히 얇고 무게는 1.07kg이다. AKG제 커스텀 듀얼 스피커를 탑재한다.


주요 사양은 CPU에 Core m3-6Y30(900MHz, 비디오 기능 내장), 메모리 4GB, SATA SSD 128GB, 12.5인치 풀HD 디스플레이 OS는 윈도우10.


인터페이스는 USB 3.0 ×2(1기는 USB Type-C), IEEE 802.11ac, Bluetooth 4.1, HDMI 출력, SSD 확장 슬롯, 음성 입출력 등.


본체 크기는 292×202×12.9mm(동), 무게는 1.07kg. 배터리 구동 시간은 9.5시간으로 30분 충전으로 50% 충전 가능.




반응형
Posted by 랩터 인터내셔널



올해(2016년) 등장 루머가 돌고 있는 차세대 프로세서 Kaby Lake의 그래픽 드라이버가 인텔 드라이버 다운로드 페이지에 게재되고 있다.


해당하는 드라이버는 7월 20일 공개된 Core m 탑재 스틱 PC "STK2M3W64CC"와 하이엔드 NUC "Skull Canyon(NUC6i7KYK)용 윈도우10 전용 드라이버(Skull Canyon은 8.1/7을 포함)로 드라이버의 릴리스 노트를 보면,


·7th Gen Intel(R)Core(TM)processor family(Codename Kaby Lake)
·Apollo Lake


라고 적힌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고 내부의 "igdlh64.inf"를 텍스트 에디터 등으로 여는 것으로 Kaby Lake 시리즈의 내장 그래픽 이름으로 예상되는 "HD Graphics 6xx"등과 같은 기재가 있어 Kaby Lake 시리즈의 GPU가 Skylake의 500번대에 이어600번대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 시점에서 데스크톱 CPU용 등에서는 이 Kaby Lake를 포함한 드라이버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반응형
Posted by 랩터 인터내셔널



플렉스터(Plextor)는 28일(대만 시간) "M8Pe"을 공식 발표했다. 


플렉스터의 첫 NVM Express 접속의 SSD로 Marvell 컨트롤러 "88SS1093" 및 도시바제 15nm Toggle MLC NAND 플래시 채용하며 프로페셔널 게이밍 요건을 충족하여 원활한 게임 체험이 가능하다. 6월 개최된 "COMPUTEX TAIPEI 2016"에 전시된 모델.


PCI Express 3.0 x4 인터페이스의 "M8PeY", M.2280 인터페이스의 "M8PeG"의 2모델이 준비되며 (M8PeG는 히트싱크 탑재 모델도 준비) 인터페이스 이외의 사양은 공통으로 보증 기간은 5년.


용량128GB256GB512GB1TB
DRAM 캐시512MB LPDDR31GB LPDDR3
최대 시퀀셜 읽기1,600MB/s2,000MB/s2,300MB/s2,500MB/s
최대 시퀀셜 읽기500MB/s900MB/s1,300MB/s1,400MB/s
랜덤 읽기 IOPS12만21만26만28만
랜덤 쓰기 IOPS13만23만25만24만
MTBF240만 시간


출처 - http://pc.watch.impress.co.jp/docs/news/1012636.html

반응형
Posted by 랩터 인터내셔널
1_s.png

AMD의 공식 트위터


미국 AMD는 25일(현지 시간) 캘리포니아에서 열린 컴퓨터 그래픽스 국제 전시회 "SIGGRAPH"에서 1TB의 SSD를 프레임 버퍼로 채용한 그래픽 카드 "Radeon Pro SSG"을 발표했다.


일반적인 그래픽 카드는 수 GB의 비디오 메모리를 갖고 있지만 이 메모리상에 표시하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 CPU에 데이터를 요청하고 CPU가 메인 메모리를 참조하며 거기에도 없다면 로컬 HDD와 SSD에서 찾게 된다. 이 때문에 큰 오버헤드가 발생, GPU의 성능을 끌어내기 어려웠다.


Radeon Pro SSG에는 1TB의 SSD를 프레임 버퍼로 사용한다. GPU는 PCI Express로 접속되어 GPU는 그곳의 데이터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GPU는 우선 이 확장된 프레임 버퍼를 참조하고 거기에도 없을 때만 CPU에 데이터를 요청한다. 이에 따른 대폭적인 속도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3_s.png
Radeon Pro SSG 아키텍처


AMD에 따르면 8K RAW 비디오 타임 라인을 스크러빙한 경우 이전에 17fps밖에 나오지 못한 프레임 레이트가 90fps 이상으로 향상되고 8K 비디오 편집에서 큰 효과와 생산성을 발휘한다고 한다.


또 빅데이터 분석에서도 그동안 GPU의 메모리에 들어가도록 데이터를 분할하고 마지막으로 소프트웨어로 통합하는 작업이 발생했지만 SSG에선 빅데이터를 분석할시에도 이들의 작업이 필요 없고 성능과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 외 다른 아키텍처에 대해서는 공개되지 않았고 출하는 2016년 말부터 시작되며 가격은 9,999달러, 2017년에는 양산을 시작한다.


출처 - http://pc.watch.impress.co.jp/docs/news/1012128.html

반응형
Posted by 랩터 인터내셔널



인텔이 7세대 코어 프로세서 카비레이크(Kaby Lake)의 출하를 시작했다.


인텔의 CEO 브라이언 크르자니크는 2분기 실적 발표에서 이 내용을 언급하며 세부적으로 어떤 모델의 출하를 시작했는지는 밝히지 않았지만 현재까지의 관행을 볼때 노트PC용 KabyLake-U / KabyLake-Y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또한 Kaby Lake 시리즈의 하이엔드 모델인 KabyLake-H / KabyLake-S는 연말부터 출하가 시작될 예정이다. 따라서 인텔과 AMD의 스케줄에 따라 인텔의 7세대 카비레이크와 AMD가 수 년간 야심차게 준비한 차세대 아키텍처 기반 CPU "ZEN"이 올 연말부터 격돌할 예정이다.

반응형
Posted by 랩터 인터내셔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