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IT 뉴스'에 해당되는 글 1093건

  1. 2016.09.07 LG전자의 멀티미디어 강화판, LG V20 글로벌 공개 by 랩터 인터내셔널
  2. 2016.09.07 신형 DSLR 카메라, 캐논 EOS 5D Mark IV 발매 by 랩터 인터내셔널
  3. 2016.09.07 인텔 3D XPoint 메모리에 맞서는 삼성의 Z-NAND 기술 by 랩터 인터내셔널
  4. 2016.09.07 필립스, USB-C 대응 25형 모니터 258B6QUEB/11 발매 by 랩터 인터내셔널
  5. 2016.09.07 안드로이드 보안 업데이트 공개, 55건 수정 by 랩터 인터내셔널
  6. 2016.09.06 차기 메인스트림 강자! 지포스GTX 1050 정보 by 랩터 인터내셔널
  7. 2016.09.05 레노버 요가북 발표, 듀얼 터치 스크린 2in1 PC by 랩터 인터내셔널
  8. 2016.09.05 끝판왕 게이밍 노트북, 에이서 프레데터 21X by 랩터 인터내셔널
  9. 2016.09.05 뉴 레이저 블레이드 노트북 등장, 스펙 강화 2 by 랩터 인터내셔널
  10. 2016.09.05 델 에일리언웨어 17/15/13 발표, 가상현실 대응 by 랩터 인터내셔널



서울과 샌프란시스코에서 7일 동시 공개행사
□ 이달 말 한국 출시를 시작으로 글로벌 시장 순차 공급
■ ‘쿼드 DAC’과 ‘B&O’의 만남… 섬세하고 깨끗한 원음의 감동 전달
□ 세계 최초 ‘32비트 하이파이 쿼드 DAC’ 탑재 스마트폰
□ ‘B&O 플레이’와 함께 튜닝한 세계 최고 수준 오디오 기능 탑재
■ CD 음질 보다 6.5배 뛰어난 ‘24비트 하이파이 녹음’ 가능
□ 오디오 녹음앱: ‘기본’, ‘콘서트’, ‘사용자 설정’ 등 사용 환경에 따라 선택
□ 자신만의 음원 제작이 가능한 ‘스튜디오 모드’ 기능: 미리 녹음된 반주에 자신의 노래나 악기연주를 더해 녹음
■ 전문가가 찍은 것 같은 흔들림 없는 동영상 촬영 가능
□ 흔들림 보정 기능: 전자식 손떨림 방지(EIS) + 디지털 이미지 보정(DIS)
□ ‘비디오 전문가 모드’에 ‘하이파이 비디오 레코딩 기능’ 추가: 시냇물 소리, 발자국 소리 등 현장의 세세한 소리까지 24비트로 담아
■ 세계 최초 전?후면 광각 카메라 탑재
□ 후면 135도, 전면 120도 광각 카메라 탑재
□ ‘하이브리드 오토 포커스’ 탑재, 세 가지 포커스 방식으로 동시 측정
■ ‘세컨드 스크린’ 등 멀티미디어 기능 강화한 사용자 경험(UX) 제공
□ 밝기 높이고, 글자크기 키워 시인성 개선한 ‘세컨드 스크린’ 탑재
□ 최신 ‘안드로이드 7.0 누가’ 기반의 UX로 사용 편의성 높여
■ 견고함을 갖춘 실용적인 아름다움
□ 알루미늄 소재의 후면 배터리 커버
□ 상?하단에 충격에 강한 ‘실리콘-폴리카보네이트’ 사용



“한층 진화한 오디오/비디오 기능”


보도 - LG전자) LG전자가 7일 서울과 샌프란시스코(현지시간 6일)에서 프리미엄 스마트폰인 ‘LG V20’를 동시 공개한다.


‘LG V20’는 LG전자가 지난해 10월 출시한 ‘LG V10’의 후속 모델이며, ‘V 시리즈’의 두 번째 스마트폰이다. LG전자 ‘V 시리즈’는 보다 깊이 있고, 풍부한 모바일 경험을 고객들에게 제공하고자 기획된 프리미엄 플래그십 스마트폰이다.


LG전자 대표이사 MC사업본부장 조준호 사장은 “LG V20는 V10에서 호평 받았던 오디오, 비디오 기능의 완성도를 높였다”며, “LG V20는 고객들에게 최상의 멀티미디어 경험을 제공하고, 프리미엄폰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LG전자는 ‘LG V20’를 9월 말 국내 이동통신 3사를 통해 출시하고, 이후 글로벌 시장에 순차 공급할 계획이다.


■ ‘쿼드 DAC’과 ‘B&O’의 만남… 섬세하고 깨끗한 원음의 감동 전달


‘LG V20’는 세계 최초로 ‘쿼드 DAC(Quad Digital to Analog Converter,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을 탑재한 스마트폰이다.


LG전자는 고성능 오디오 칩셋 제조업체인 ESS社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V20에 ‘쿼드 DAC’을 탑재했다. ‘쿼드 DAC’은 ‘싱글 DAC’ 대비 잡음을 최대 50%까지 줄여 원음에 가까운 소리를 제공한다. 가수의 들숨 날숨, 현악기 줄에 활이 닿는 소리, 기타줄의 미세한 떨림까지 느낄 수 있을 정도의 명료한 소리를 제공한다.


‘LG V20’는 CD 음질(16비트, 44.1킬로헤르쯔)보다 16배 이상 뛰어난 32비트(bit), 384킬로헤르쯔(kHz)의 고해상도 음원까지 재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LG V10’에서 처음 적용된 업비트(Up-bit), 업샘플링(Up-Sampling) 기능으로 스트리밍을 포함한 일반 음원도 최대 32비트, 384킬로헤르쯔까지 원음에 가까운 음질로 재생할 수 있다. 비트는 저음부부터 고음부까지 고르게 표현할 수 있는 단계의 개수, 헤르쯔는 초당 재생할 수 있는 소리단위의 개수로 숫자가 높을수록 원음에 가까운 소리를 표현할 수 있다.


특히, LG전자는 세계적인 오디오 브랜드인 ‘B&O 플레이(B&O PLAY)’와 협업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스마트폰 오디오 음질을 구현했다. ‘LG V20’의 오디오 성능에 ‘B&O 플레이’ 특유의 음색 튜닝 기술력이 더해져 맑고 깨끗한 고음부터 깊은 중저음까지 균형 잡힌 매력적인 사운드를 즐길 수 있다.


LG전자는 기본 제공하는 번들 이어폰도 ‘B&O 플레이’와 함께 튜닝해 소비자들이 제품을 구매하자마자 B&O 사운드를 제대로 즐길 수 있도록 했다. 번들 이어폰에 ‘B&O’의 로고를 새겨 명품 사운드에 대한 자부심을 더했다.


‘LG V20’는 오디오 매니아를 위한 다양한 기능도 갖췄다. MP3와 같은 일반적인 손실압축 음원 포맷뿐 아니라 ‘FLAC’, ‘DSD’, ‘AIFF’, ‘ALAC’ 등 대부분의 무손실 하이파이 음원 포맷을 지원한다. 또, 이어폰 좌우의 음량을 각각 75단계까지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헤드폰 등 연결된 음향기기의 저항값을 분석, 고출력이 필요한 전문가용 헤드폰도 고유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충분한 출력을 제공한다.


‘LG V20’는 듣는 즐거움뿐 아니라 음악을 녹음하는 즐거움까지 더했다.


LG전자는 ‘LG V20’에 ‘고음질 녹음’ 기능을 탑재했다. ‘고음질 녹음’은 CD 음질(16비트, 44.1킬로헤르쯔)보다 6.5배 뛰어난 최대 24비트, 192킬로헤르쯔 음질로 녹음 할 수 있다.


‘LG V20’에 탑재된 오디오 녹음앱은 ‘기본 모드’, ‘콘서트 모드’, ‘사용자 설정 모드’ 등을 지원한다. 사용자가 별도 설정 없는 간편한 녹음을 원할 때는 ‘기본 모드’를, 공연장 등에서 녹음할 때는 ‘콘서트 모드’를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서트 모드’를 활용하면 폰 주변의 소음은 줄여주고 멀리 있는 공연자의 목소리를 집중적으로 담을 수 있다.


‘사용자 설정모드’에서는 소리의 민감도를 조절하는 ‘외부 유입음량 조절(Gain)’, 에어컨 소리와 같은 낮은 저음을 걸러주는 ‘저주파 잡음 제거(Low Cut Filter)’, 갑작스레 발생한 큰 소리로 인한 왜곡을 방지하는 ‘최대 볼륨제한(Limiter)’ 등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음향 전문가처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LG V20’는 미리 녹음된 반주에 자신의 노래나 악기연주를 더할 수 있는 ‘스튜디오 모드’ 기능을 지원해 자신만의 음원 제작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집에서도 손쉽게 오디션 제출용으로 최대 24비트 음원을 녹음할 수 있다.


‘LG V20’는 락 콘서트와 같이 소리가 큰 환경에서도 생생하고 깨끗한 소리를 녹음할 수 있도록 고성능(High AOP) 마이크를 내장했다. 기존 제품(120dB)보다 4배 큰 132데시벨(dB)의 소리까지 녹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20 데시벨 크기의 소리를 녹음할 수 있는 마이크를 이용해 그 보다 큰 소리를 녹음 할 경우, 소리의 왜곡이나 깨짐 현상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여객기가 이륙할 때 나는 소음이 120데시벨, 전투기가 이륙할 때 나는 소음이 130 데시벨 정도다.


■ 전문가가 찍은 것 같은 흔들림 없는 동영상 촬영 가능


‘LG V20’는 더욱 강력해진 ‘흔들림 보정 기능(Steady Record 2.0)’을 탑재, 보다 안정적이고 떨림 없는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흔들림 보정 기능(Steady Record 2.0)’은 자이로 센서 기반의 ‘전자식 손떨림 방지(EIS, Electronic Image Stabilization)’ 기능에 프레임내 피사체 위치를 분석해 보정하는 ‘디지털 이미지 보정(DIS, Digital Image Stabilization)’ 기능이 더해져 더욱 향상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LG V20’는 ‘LG V10’의 ‘비디오 전문가 모드’에 고음질 녹음이 가능한 ‘하이파이 비디오 레코딩(Hi-Fi Video Recording)’ 기능을 추가해 더욱 생동감 넘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하이파이 비디오 레코딩(Hi-Fi Video Recording)’은 DVD나 전문 캠코더 오디오 녹음에 쓰이는 무손실 무압축 파일포맷인 LPCM(Linear PCM Audio)을 지원한다. 사용자는 시냇물이 흐르는 소리, 작은 발걸음 소리 등 현장의 세세한 소리도 놓치지 않고 동영상에 24비트 음질로 담을 수 있다.


■ 세계최초 전?후면 광각 카메라 탑재


‘LG V20’는 후면에 75도 화각을 지닌 1,600만 화소 일반각 카메라와 135도의 화각의 800만 화소 광각 카메라를 탑재했다. 전면에는 120도 화각의 500만 화소 광각 카메라 한 개를 탑재했다.


전면 광각 카메라는 셀카봉 없이도 7~8명의 인원이 함께 촬영할 수 있으며, 후면 광각 카메라는 넓게 펼쳐진 자연 풍경을 찍을 때 유리하다. 예를 들어, 큰 건물 앞에서 기념촬영 시 멀리서 찍지 않아도 건물이 잘려 나가지 않게 찍을 수 있다.


‘LG V20’는 ‘하이브리드 오토 포커스(Hybrid Auto Focus)’ 기능을 탑재해 어떠한 환경에서도 빠르고 안정적인 촬영을 기대할 수 있다.


‘LG V20’는 레이저 빔으로 촬영 대상까지의 거리를 측정해 초점을 맞추는 ‘레이저 오토 포커스’, 렌즈에서 들어오는 빛을 이미지센서 2개에 나눠 보내 두 빛 간 거리가 맞도록 조절해 초점을 맞추는 ‘위상차 오토 포커스’, 이미지 센서에 들어온 빛의 명암비를 분석해 초점을 맞추는 ‘콘트라스트 오토 포커스’ 등 세가지 방식으로 동시에 측정해 초점을 맞춘다.


■ ‘세컨드 스크린’ 등 멀티미디어 기능 강화한 사용자 경험(UX) 제공


LG전자는 ‘LG V20’에 한층 업그레이드 된 ‘세컨드 스크린’을 탑재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다.


‘세컨드 스크린’은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두 개의 독립된 화면처럼 사용하는 기능으로, 메인 화면이 꺼져 있어도 날씨, 시간, 요일, 날짜, 배터리 상태 등의 기본 정보는 물론, 문자, SNS 등의 알림 정보를 24시간 표시해주는 ‘올웨이즈온(Always-on)’ 기능을 지원한다.


LG전자는 전작 ‘LG V10’에 비해 ‘세컨드 스크린’의 밝기를 약 두 배 높이고, 글자 크기는 최고 50% 키워 시인성을 개선했다.


LG전자는 ‘세컨드 스크린’에 ‘예약 꺼짐’ 기능을 추가해, 취침시간 등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동안 메인 화면이 꺼지면 ‘세컨드 스크린’도 함께 꺼지도록 했다. 또, 알림 확장 기능을 추가해 메시지 등이 왔을 때 앱으로 화면을 이동하지 않고 바로 내용을 확인한 뒤 답장을 보낼 수 있다.


LG전자는 ‘LG V20’에 보다 강화된 멀티미디어 경험을 제공하는 ‘UX 5.0+’를 적용했다.


사용자는 ‘고음질 녹음’, ‘스튜디오 모드’, ‘카메라/비디오 전문가 모드’, ‘하이파이 비디오 레코딩’ 등 전문가 수준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활용해 보다 멋진 영상과 풍부한 오디오 사운드로 일상을 담아 공유할 수 있다.


또, LG전자는 ‘멀티 윈도우’ 등 최신 ‘안드로이드 7.0 누가’ 기반의 UX를 통해 효율적인 사용성을 제공한다.


‘LG V20’는 스마트폰 화면을 분할해 두 개의 앱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멀티 윈도우’ 기능을 지원한다. 이 기능은 사용자가 실행된 앱 간에 텍스트나 이미지 파일 등을 자유롭게 옮길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앱과 갤러리 앱을 동시에 열어두고 갤러리의 이미지를 끌고 와 메시지 앱을 통해 손쉽게 전송 가능하다.


‘LG V20’는 구글의 새로운 검색 기능인 ‘인앱스’도 지원한다. 사용자는 ‘인앱스’를 통해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의 콘텐츠를 통합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LG전자는 ‘V20’에 ‘인앱스’ 검색화면으로 바로 진입할 수 있는 ‘바로가기 앱’을 탑재해 편리성을 더했다.


■ 견고함을 갖춘 실용적인 아름다움


LG전자는 내구성을 갖춘 실용적인 아름다움을 구현하기 위해 ‘LG V20’에 고급스러운 메탈소재와 충격에 강한 신소재를 조화롭게 적용했다.


LG전자는 ‘LG V20’의 후면 커버를 항공기, 요트 등에 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AL6013) 소재를 사용해 제작했다. 후면 커버는 좌우 양쪽 가장자리 부분이 둥글게 휘어진 라운드형 구조로 제작해 비틀림, 휘어짐 등에 강하다.


LG전자는 ‘LG V20’ 상?하단에 레이싱 헬멧 등에 쓰이는 ‘실리콘-폴리카보네이트(Si-PC, Silicone Polycarbonate)’ 소재를 사용했다. ‘실리콘-폴리카보네이트’는 여행용 하드 캐리어에 주로 쓰이는 일반 ‘폴리카보네이트’ 소재 대비 20% 이상 충격에 강하다.


LG전자는 ‘LG V20’를 ‘티탄’, ‘실버’, ‘핑크’ 등 총 3가지 색상으로 출시한다.


* ‘LG V20’ 주요 스펙

크기159.7
x 78.1 x 7.6mm
색상티탄, 실버, 핑크
네트워크LTE-A
3Band CA
칩셋Qualcomm
Snapdragon 820 Processor
디스플레이이형 디스플레이(5.7”+)

- 5.7” QHD IPS 퀀텀 디스플레이(2560 × 1440, 513ppi)

- 세컨드 스크린(160 × 1040, 513ppi)
카메라전면: 500만 화소 카메라(광각 120º)

후면: 듀얼 카메라

- 1,600만 화소 카메라(일반각 75º)

- 800만 화소 카메라(광각 135º)
배터리탈착형
3,200mAh
메모리4GB LPDDR4 RAM

64GB UFS ROM

마이크로 SD카드 슬롯 지원(최대 2TB 용량)
운영체제안드로이드 7.0 누가
연결성Wi-Fi (802.11 a, b, g, n, ac)

Bluetooth 4.2 BLE

NFC, USB 2.0 (3.0 호환)
기타지문인식, 퀄컴 퀵차지 3.0, 카메라 전문가모드, 동영상 전문가모드


반응형
Posted by 랩터 인터내셔널



캐논이 신형 DSLR 카메라 EOS 5D Mark IV를 9월 8일부터 발매한다. 이전 EOS 5D Mark III (2012년 3월 발매)의 후계 기종으로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기본 성능이 골고루 향상

유효 화소 수가 약 3040만 화소, 35mm 풀 사이즈 CMOS 센서와 영상 엔진 DIGIC 6+의 탑재로 상용 ISO 감도 100~32000을 실현하고 있다. 또 신개발 진동 제어 시스템 채용으로 최고 약 7면/초의 고속 연사를 실현했다. 촬상 소자에서 얻은 듀얼 픽셀 정보를 RAW 화상에 부가하는 DPRAW 촬영도 가능하고, 촬영 후에 캐논의 RAW 개발 소프트웨어(무상)를 사용해 보정 등의 화상 처리가 가능하다.


■ 플래그십 기기와 동등한 기능 탑재

플래그십 EOS-1D X Mark II(2016년 4월 발매)에 채용된 다양한 신기술 탑재. 61점 고밀도 레티쿨 AF II로, 종래 기종보다 세로 방향으로 측거 에어리어가 확대되고 있다. 익스텐더를 사용한 초망원 촬영시는 렌즈의 개방 조리개 값이 F8 까지의 밝기로도 전측 거점에서 AF가 가능. 중앙측 거점에서는 EV-3의 저휘도 한계를 달성하고 어두운 환경에서도 고정밀의 AF 초점 맞추기를 실현했다.


해상 열화의 요인이 된 왜곡 수차와 회절 현상 등은 촬영시에 보정이 가능하며 기존의 렌즈 광학 보정만으로는 대처할 수 없는 수차의 보정과 로우 패스 필터에 기인하는 해상 열화를 보정하는 디지털 렌즈 옵티마이저 기능도 촬영시에 적용할 수 있다.


■ 4K 동영상 등 동영상 촬영 기능 강화

4K/30p의 고화질 동영상이나 풀 HD/60p, 슬로우 모션 영상의 촬영에 적절한 HD/120p 동영상 이외에 시간 경과 동영상 촬영이 가능. 플래그십과 마찬가지로 촬영한 4K 동영상에서 임의의 1면을 정지 화면으로 자르는 4K 프레임 캡쳐 기능도 탑재하고 있다.

반응형
Posted by 랩터 인터내셔널

3D XPoint 메모리는 인텔과 마이크론 테크놀로지가 지난해(2015년) 7월 말에 공동 개발을 발표한 고속의 대용량 비휘발성 메모리다. 이미 128Gbit 실리콘 다이 샘플이 출하되고 있으며 SSD(Solid State Drive) 시제품에서 성능이 평가되고 있다.


3D XPoint 메모리는 실리콘 다이의 성능에서는 "NAND 플래시 메모리의 1000배 고속" 이며 "NAND 플래시 메모리의 1000배 수명", "DRAM의 10배 기억 밀도"를 갖는다고 발표했었다. 그러나 NVMe 인터페이스의 SSD로 NAND 플래시 메모리 장착 제품과 비교한 범위에서는 레이턴시(지연 시간)은 10분의 1, 어플리케이션의 처리 속도는 3배의 성능에 그쳤다.


그래도 3D XPoint 메모리에 대한 메모리 사용자의 기대는 크다. 128Gbit 라고 하는 대용량 칩의 비휘발성 메모리는 NAND 플래시 메모리를 제외하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고속의 랜덤 접속이 가능하다는 의미에서는 3D XPoint 메모리가 현재 유일한 존재다.



Z-NAND 기술은 기억 칩과 컨트롤러로 구성

메모리 사용자가 불만을 느끼는 한가지는 3D XPoint 메모리의 상업 생산(대량 생산)이 좀처럼 시작되지 않는 것이다. 또 다른 하나는 DRAM 과 NAND 플래시 메모리의 속도 차이를 메우는 차세대 메모리의 유력 후보가 3D XPoint 메모리 하나뿐 이라는 것이다. 독립 후보는 경쟁 원리가 적용되지 않고, 메모리 및 SSD 등의 가격이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거기서 등장한 것이 삼성전자가 개발한 고속의 대용량 비휘발성 메모리 기술 "Z-NAND". Z-NAND 기술을 포함한 SSD("Z-SSD" 이라 함)를 개발하고 기존 NAND 플래시 메모리 내장 SSD에 비해 레이턴시(지연 시간)이 크게 짧고 처리량(데이터 전송 속도)가 높다는 점을 플래시 메모리 업계 이벤트 "FMS(Flash Memory Summit)"에서 발표했다.


photo002.jpg

Z-SSD의 외관. 인터페이스는 NVMe(Non-Volatile Memory express). 삼성전자가 FMS에서 공개한 자료



요소 기술은 대부분 미공개

"Z-NAND" 기술로 메모리의 성능 및 요소 기술 등은 현재 전혀 공개되지 않았다. 공개된 것은 "Z-SSD"의 간단한 구성과 성능 정도다. Z-SSD는 Z-NAND 칩과 전용 개발 컨트롤러를 조합한다. 칩과 컨트롤러 각각의 독자적인 설계가 적용되고 있다고 보이지만 자세한 것은 알수가 없다.


삼성은 이전에 상변화 메모리(인텔은 "PCM", 삼성은 "PRAM"이라 함)를 개발하는 것으로 밝힌적이 있다. 그러나 FMS 설명에서는 Z-NAND 칩은 상변화 메모리가 아니라고 밝혔다. 칩에 DRAM 실리콘 다이와 NAND 실리콘 다이를 내장하고 성능을 높이는 기법도 있지만 이것도 아닌 것이다.


Z-NAND 칩은 미국 온라인 잡지 EETimes가 Z-NAND에 관해 보도한 기사가 흥미롭다. 이 잡지의 기자가 도시바의 엔지니어와 인터뷰하고 "3D NAND 플래시 메모리를 SLC 타입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성능을 높일 가능성이 있다" 라는 중요한 코멘트를 받고 있다. 3D NAND 플래시 메모리의 표준적인 사용법은 TLC(3bit/ 셀) 타입이다. 같은 실리콘 다이를 SLC(1bit/ 셀) 타입으로 사용하면 기억 용량은 3분의 1까지 떨어지지만 접근 속도는 올라간다. 특히 쓰기 성능이 올라간다. NAND 플래시 메모리는 종래, 쓰기 성능이 낮다는 약점을 안고 있었다. 이를 기존의 SSD에서는 입출력 채널의 다자화나 DRAM 버퍼의 탑재 등으로 보완하고 높은 성능을 실현해 왔다.


예를 들면 256Gbit의 TLC 타입 3D NAND 플래시를 SLC 유형으로 사용하면 기억 용량은 약 85Gbit로 작아진다. 그러나 쓰기에 필요한 시간은 짧아진다. 또 쓰는 수명이 크게 증가한다. 삼성은 엔터프라이즈용 SSD 솔루션으로서 Z-SSD를 소개하고 있으므로 수명의 증가는 큰 의미를 갖는다.



photo003a.jpg

FMS 삼성 부스에 전시된 "Z-NAND" 기술과 "Z-SSD" 기술. 엔터프라이즈용 솔루션으로 소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변화 메모리(PRAM)와 성능을 비교한 의미

DRAM과 기존 SSD 사이의 메모리 계층에는 큰 성능 차이가 존재하는 것은 잘 알고 있다. 삼성은 FMS의 키노트 연설에서 이 갭을 메우는 데는 상변화 메모리(PRAM)를 기반으로한 어프로치가 지금까지 존재했으며 삼성은 NAND 기반의 접근으로 이 간극을 메우려 했다.


photo005_s.png
메모리 계층의 DRAM과 SSD 사이에 있는 성능 차이와 간극을 메우는 방법. FMS 삼성 키노트 강연


여기서 PRAM 기반의 접근은 "3D XPoint 메모리"를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FMS의 키노트 강연과 전시회에서 삼성은 Z-SSD의 성능을 기존 SSD와 비교했는데 비교한 도면에서도 자주 PRAM 기반 SSD와 비교 결과가 나왔다.


키노트 강연에서 삼성의 NVMe SSD "PM963"과 PRAM 기반 SSD, Z-SSD의 성능을 늘어놓은 그래프를 보였다. 예를 들면 순차 읽기의 산출량은 NVMe SSD의 2배 이상이며 PRAM (SSD보다 약간 높다. 그리고 4KB 데이터 읽기의 레이턴시(지연 시간)은 NVMe SSD 보다 월등히 짧고, PRAM 기반 SSD와 거의 같다. 메모리 캐시 서버의 성능은 NVMe SSD 탑재 시스템의 2배 이상이며 PRAM 기반 SSD 탑재 시스템보다 조금 높다. 빅 데이터 분석 성능은 NVMe SSD 탑재 시스템의 2배 이상이며 PRAM 기반 SSD 보다 1.2배 가량 높다. 그리고 Z-SSD의 소비 에너지 효율은 PRAM 기반 SSD 보다 2.6배 높다.


photo006.jpg

삼성의 NVMe SSD "PM963" 과 PRAM 기반 SSD의 성능 비교. FMS 삼성 키노트 강연



전시회 부스에서도 기존의 NVMe SSD, PRAM 기반의 SSD, Z-SSD의 성능을 비교하고 대형 액정 패널에서 슬라이드 쇼로 표시하고 있었다.


시퀀셜 읽기와 시퀀셜 쓰기의 산출량은 Z-SSD가 약 3.2GB/sec 으로 최고의 성능을 나타내고 있었다. PRAM 기반 SSD는 NVMe SSD(NAND 플래시 기반)보다는 높지만 스루풋은 Z-SSD의 3분의 2전후가 되고 있었다.


4KB 데이터 읽기의 레이턴시(지연 시간)은 키노트 강연과 마찬가지로 Z-SSD가 NVMe SSD 보다 4분의 1로 짧고 PRAM 기반 SSD와 거의 같다.


전체적으로는 PRAM 기반의 SSD(즉 3DXPoint 메모리 기반 SSD "Optane"과 "QuantX"를 상정)과 동등 이상의 성능을 Z-SSD는 낼 수 있다고 어필했고 릴리스에 따르면 Z-SSD 제품판은 내년(2017년)에 출하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SSD는 NVMe의 초고속 인터페이스를 얻어 그 성능의 최대화 가능했다. 역설적이지만 NVMe 인터페이스를 극한까지 써서 성능의 SSD를 고안하고 개발하는 의의가 생긴 것이다. 3DXPoint와 Z-NAND 등은 NVMe 인터페이스가 전제인 SSD를 실현하는 요소 기술이다. 앞으로도 유사한 방향성을 목표로 한 SSD가 고안될 가능성이 적지 않으며 매우 기대된다.


출처 - http://pc.watch.impress.co.jp/docs/column/semicon/1018367.html

반응형
Posted by 랩터 인터내셔널



필립스(Philips)가 USB Type-C 대응 25형 디스플레이 "258B6QUEB/11"을 9월 중순에 발매한다. 가격은 오픈 프라이스.


USB Type-C에 대응하고 3포트 USB 3.0 Hub(1기 급속 충전 대응)을 내장하여 USB Type-C 경유로 디스플레이를 출력할 수 있는 노트북과 접속하면 디스플레이 외 각종 USB 주변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 Power Delivery를 갖추고 있으며 자체 노트북 PC로의 충전도 가능하며 이더넷 기능도 지원한다.


주요 사양은 패널이 IPS, 해상도가 2560×1440(WQHD), 표시색 수 1677만색, 휘도 350cd, 응답 속도 5ms, 명암비 1000:1(최대 2000만:1), 시야각이 상하, 좌우 동시 178도.


인터페이스는 USB Type-C, 미니 D-Sub15핀, Dual Link DVI, DisplayPort, HDMI의 5계통. 2W+2W 스피커를 내장하며 스탠드는 좌우 65도 스위블, 130mm의 엘리베이션, 90도의 피벗, 아래 5도/위 20도 틸트에 대응한다.


본체 크기는 571×244×511mm(폭×두께×높이), 무게는 7kg.


출처 - http://pc.watch.impress.co.jp/docs/news/1018742.html

반응형
Posted by 랩터 인터내셔널



구글이 6일, 안드로이드의 월례 보안 정보를 공개했습니다. 단말기 메이커 등의 파트너들에는 8월 5일까지 통보됐으며 48시간 이내에 안드로이드의 오픈 소스 프로젝트(AOSP) 레파지토리에 소스 코드가 제공 될 예정입니다.


이번 업데이트에는 Check Point Software Technologies가 8월 7일에 공표한 쿼드루터(QuadRooter)로 불리는 퀄컴 칩셋용 드라이버에 존재하는 4건의 취약성은 9억대의 안드로이드 단말기에 영향이 있으며 수정된 것은 CVE-2016-2059 (심각성:높음)과 CVE-2016-5340(심각성:치명적) 2건입니다.


CVE-2016-2059은 Linux Kernel 3.x가 대상 시스템이 되고 있지만 안드로이드OS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으며 CVE-2016-5340은 퀄컴 GPU 드라이버의 권한을 취득하여 공격자에 의한 root 권한 취득으로 단말기가 완전히 제어되거나 기기 안의 데이터 등에 무제한 접속될 수 있는 내용입니다.


이번 보안 패치는 가장 위험도가 높은 Critical 2건을 포함 25건의 취약성을 수정하는 2016-09-01, Critical 4건을 포함해 28건의 취약성을 수정하는 2016-09-05, QuadRooter에 포함되는 2건의 취약성을 수정하는 2016-09-06의 3가지로 나뉘어 있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랩터 인터내셔널



benchlife.info 사이트에 따르면 엔비디아가 차세대 메인스트림 GPU 지포스GTX 1050을 준비중인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현재의 메인스트림 GPU 지포스GTX 950을 대체하게 될 1050은 신형 파스칼 아키텍처 기반이기 때문에 경쟁사인 AMD의 라데온 470급의 성능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지포스GTX 1050의 상세한 스펙은 16나노 기반의 코드네임 GP107 코어, 쿠다코어는 768개, 베이스 클럭은 1316, 부스트 클럭은 1380, 메모리는 128비트 인터페이스에 4GB 용량이 탑재되며 TDP는 75와트로 보조 전원은 불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출처 - https://benchlife.info/nvidia-geforce-gtx-1050-4gb-gp107-400-09042016/

반응형
Posted by 랩터 인터내셔널
01_s.jpg

「Yoga Book」


레노버가 요가북(Yoga Book)을 발표했다.


요가북은 2개 스크린 중앙을 밴드 힌지로 연결한 형태로 워치 밴드 힌지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며 얼핏 보기에는 접는식의 2in1 PC.


02_s.jpg
03_s.jpg
04_s.jpg
05_s.jpg



태블릿 측은 360도 회전 힌지를 이용하고, 퓨어 태블릿이나 스탠드 모드, 텐트 모드, 클램쉘 모드로 변경 가능.


디스플레이는 10.1형 WUXGA(1920×1200), 부속의 레노버 애니펜(AnyPen)기술을 이용해 조작이 가능하다. 


SoC는 인텔 Atom x5-8550(쿼드 코어, 최대 2.4GHz), 메모리는 4GB, 스토리지는 64GB, microSD로 확장할 수 있다. 카메라는 뒷면 800만 화소, 전면 200만 화소. 무선은 Wi-Fi 및 옵션으로 LTE에 대응. Nano SIM 카드도 대응해 LTE 밴드는 FDD가 1/3/4/7/8/12/20/25 혹은 2/5/9/17/18/19, TDD가 38/39/40. 본체 크기는 256×170.8×9.6mm(폭×두께×높이), 무게는 690g.


OS는 안드로이드 및 윈도우10 양쪽을 모두 지원. 배터리 용량은 8500mAh로 구동 시간은 안드로이드 버전이 15시간, 윈도우 버전이 13시간.




출처 - http://pc.watch.impress.co.jp/docs/news/event/1017706.html

반응형
Posted by 랩터 인터내셔널

에이서의 슈퍼 게이밍 노트북 Predator 21X

커브드 21인치 IPS 디스플레이 (2560 x 1080)

엔비디아 파스칼 지포스GTX 1080 x2 SLI

바디 4 스피커 and 2 서브 우퍼 탑재

5 시스템 팬, 에어로 블레이드 쿨링 시스템

풀 사이즈 체리MX 기계식 키보드 탑재 with 커스터마이즈 RGB 백라이트



반응형
Posted by 랩터 인터내셔널

인텔 Core i7-6700HQ 쿼드코어 프로세서 (2.6GHz / 3.5GHz)
NVIDIA 지포스GTX 1060 (6GB GDDR5 VRAM)
16GB 시스템 메모리 (DDR4, 2133 MHz)
윈도우10 64비트
256GB / 512GB / 1TB SSD (PCIe M.2)
14인치 IGZO QHD+ 디스플레이, 3200x1800 해상도
Anti-ghosting keyboard with per-key lighting powered by Razer Chroma
킬러랜 Wireless-AC 1535 (802.11a/b/g/n/ac + Bluetooth 4.1)
썬더볼트3 (USB-C) / USB 3.0 x3 / HDMI 2.0
돌비 디지털 플러스 홈시어터 에디션
무게 : 1.95 kg
가격 : $1799 ~



반응형
Posted by 랩터 인터내셔널
1_s.png

Alienware 17


미국 Dell은 2일(미국시간) 미국 시애틀에서 열리고 있는 게이밍 이벤트 "PAX"에서 GeForce GTX 10 시리즈 그래픽을 탑재한 게이밍 노트북 "Alienware 17","Alienware 15","Alienware 13"을 발표했다.


에일리언 웨어 브랜드 등장으로부터 20주년에 브랜드 최초로 VR 대응의 노트 PC를 발표했다. 케이스를 일신하고 방열성을 높혀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강력한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고 한다.


케이스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배열 및 스틸 등에 강화된 힌지 "힌지 포워드 디자인"을 채용하고 있다.


또, TactX 키보드를 탑재해 스틸 소재 구조로 신뢰성을 높이고 2.2mm의 키 스트로크를 확보, RGB LED 백라이트도 갖추고 있어 취향색으로 커스터마이즈 할 수 있다. 


Alienware 17의 주요 사양은 최대 Core i7-6820HK(오버클럭으로 4.1GHz동작), 8GB~32GB의 DDR4 메모리, GPU에 GeForce GTX 1080(8GB), GTX 1070(8GB), GTX 1060(6GB) 또는 Radeon RX 470(8GB), 최대 1TB의 부트용 SSD+1TB의 데이터용 SSD 또는 HDD 등을 탑재. 옵션으로 아이트래킹 "Tobii EyeX"을 선택할 수 있다.



2_s.png
Alienware 17
3_s.png
Alienware 15

출처 - http://pc.watch.impress.co.jp/docs/news/1018380.html

반응형
Posted by 랩터 인터내셔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