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Google은 Chrome 브라우저 상에서 동작하는 클라우드 게이밍 기술 "STADIA"를 발표했다.
Stadia는 Chrome 브라우저가 동작하는 PC, Chromebook, 스마트폰 등 이외에 Chrome이 있거나 Chromecast를 접속한 TV 등 폭넓은 디바이스에서 동작한다. 게임 자체는 Google 데이터센터의 머신 상에서 렌더링, 처리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측에는 강력한 GPU가 불 필요해진다.
클라우드 게임 기술은 지금까지도 몇 개의 기업이 제공해 왔지만 STADIA는 Google이 가진 다양한 강점을 총동원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STADIA에서는 게임 플레이어, 스트리머 등의 컨텐츠 크리에이터, 그리고 게임 개발자가 같은 플랫폼에서 활동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앞서 서술한 것처럼 각 게임은 Google이 STADIA 전용으로 개발한 데이터센터의 머신상에서 동작한다. 이 머신에는 AMD와 공동 개발한 10.7TFLOPS의 성능을 가진 GPU가 탑재되고 있다. 이 성능은 PlayStation 4, Xbox One을 뛰어넘고 4K HDR 60p로 게임을 동작시킬 수 있으며 STADIA GPU를 멀티 GPU로 움직여 이미 8K에서 동작도 검토 중이다.
STADIA 데이터센터는 각국 프로바이더와 전용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저지연으로 게임을 할 수 있고 해킹 및 치트도 불 가능하다고 밝혔다.
STADIA 데이터 센터의 리소스를 사용해 개발자는 게임의 개발도 가능하다. 또 자기 부담으로 STADIA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수도 있고, 로컬 개발용 STADIA 데스크톱 머신도 준비된다. 이미 미들웨어로서 Unity와 Unreal Engine이 STADIA에 대한 대응을 표명하고 있으며 기존의 게임도 적은 공정수로 이식할 수 있다.
클라우드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설치는 불 필요하게 되므로 개발자는 가령 YouTube의 예고 동영상에 "PLAY"버튼을 붙일 수 있으며 플레이어는 그 버튼을 클릭하여 5초 이내에 게임을 시작할 수 있다.
플레이어측에서는 디바이스를 불문하고 플레이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스마트폰으로 플레이하고 있던 것을 일시 중단해 PC로 로그인 하면 즉시 PC로 계속 플레이 할 수 있는 동기화 시스템이 탑재되고 있다. 또, 대형 TV 등의 경우는 화면을 분할해 여러 사람이 멀티 플레이 할 수도 있고, 플레이어 마다 할당된 STADIA GPU를 사용하므로 성능의 열화가 없다.
디바이스에 따라 키보드+마우스, 게임 컨트롤러, 터치 조작 등으로 플레이할 수 있으며 Google은 전용 STADIA 컨트롤러도 개발했다. 확견은 일반적인 게임 컨트롤러지만 Wi-Fi 기능을 내장해 이 컨트롤러 자체가 STADIA 데이터 센터에 직결되어 플레이 하는 구조가 되고 있다.
또 STADIA 컨트롤러에는 독자 캡쳐 버튼과 Google Assistant 버튼이 탑재된다. 캡쳐 버튼을 누르면 곧바로 YouTube 상에 전송되어 YouTube와의 강력한 연동도 무기가 되고 있으며 전달자는 게임을 보내면서 채팅란을 통해 시청자를 게임에 초대할 수 있다. 게임 전달도 4K에 대응한다.
STADIA에서 매우 특징적인 것은 "State Share"라고 불리는 기능이다. STADIA 게임에서는 예를 들어 아이템이나 라이프, 스테이지 등 플레이어가 플레이하고 있는 시점의 모든 정보를 임의의 장소에 보존하고 공유할 수 있다. State Share를 사용하면 그 정보의 링크가 단축 URL에 기록된다. 플레이어가 이 URL을 YouTube나 SNS로 공유하면 그 플레이어의 플레이를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에는 찬반 양론이 있을 것 같지만 게임이 막혔을 때는 Google Assistant를 불러내 차례대로 가기 위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STADIA는 올해 안에 북미, 유럽에서 서비스를 시작한다.
출처 - https://pc.watch.impress.co.jp/docs/news/1175603.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