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블릭 클라우드 및 SaaS,PaaS,IaaS 포인트
기업의 IT 담당자라면 자사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생각해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 만큼 요즘 "클라우드"라는 컴퓨팅 사용의 개념은 넓게 전개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또한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 또 SaaS,PaaS,IaaS등 다양한 활용 형태가 있다. 각각의 차이를 두어도 현시점에서 본격적으로 클라우드를 도입하고 있는 것은 새로운 IT 투자와 그 활용에 적극적인 대기업이 중심이고, IT 시장이 격렬하게 변화하는 가운데 중견/중소 규모의 기업은 관망만 하고 있는 점도 사실이다.
그러나 내년부터는 중견/중소기업도 마침내 본격적으로 클라우드 도입에 움직이기 시작할 것이라고 전망되고 있다. 경제 환경이 민감하게 변화하는 가운데 밀려 드는 물결에 임기응변해 힘든 경쟁을 이겨 내기 위해서는 "신속한 경영"이 필요하고, 이것을 지지하는 기업 IT에도 비즈니스 요구의 변화에 대응 할 만한 “속도” 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것의 주역이 클라우드 프로바이더가 제공하는 IT자원을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 이용하는 퍼블릭 클라우드 모델이다.
클라우드로의 이행에 대응 하는 형태로 이미 수많은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가 시장에 등장하고 있다. 퍼블릭 클라우드를 도입하는 것에 대한 구체적인 메리트에 대해 기업 규모나 이용 형태에 근거하여 몇가지 대표적인 예를 들어 본다.
우선, 전임 IT담당자가 없는 혹은 소수 인원으로 관리하고 있는 IT 인재의 부족에 고민하는 대부분의 중견/중소기업에 있어서는 퍼블릭 클라우드의 도입이 IT 운용 관리에 관련되는 부담의 대폭적인 경감으로 연결된다. 이 뿐만 아니라, 그만한 규모나 노하우가 없어 도입이 힘든 고도의 시스템 운용이나 견고한 보안 테크놀로지도 용이하게 손에 넣을 수 있다. 대 도시권 이외의 중견/중소기업에 있어서도 네트워크 환경만 있으면 최신 IT 환경을 이용할 수 있는 퍼블릭 클라우드는 강한 아군이 될 것이 틀림없다.
다음, 신규사업의 시작에서도 퍼블릭 클라우드는 그 특성을 확실하게 발휘한다. 신규사업을 시작할때 IT 시스템의 조달이나 개발, 도입에 수 개월이 소요되어 비즈니스 찬스를 놓쳐 버릴 수도 있지만 퍼블릭 클라우드를 활용하면 그 리드 타임이 큰 폭으로 단축된다. 또, 필요한 시스템 규모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어도 최소한의 구성부터 시작해 사업의 발전에 따라 시스템 규모를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고, 쓸데 없는 초기 투자를 막을 수 있다.
또,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테스트에서는 지금까지 프로젝트의 진척에 따라 필요한 대수의 서버 머신을 조달해 각각의 환경을 셋업 해야 했다. 하지만 퍼블릭 클라우드(IaaS)의 가상 서버를 이용하면 테스트 환경에 필요한 수와 타이밍을 유연하게 준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도 불 필요한 IT 투자를 막을 수 있는것.
또한 일본의 대지진 발생 이후 보다 강도 높게 주장되어 온 BCP(사업 지속 계획)의 대응에서도 퍼블릭 클라우드는 큰 역할을 할수 있다. 클라우드 벤더에 따라서 국내, 그리고 해외의 다수의 데이터 센터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재해나 장해에 대한 “보험” 과 같은 역할을 한다. 자사의 서버 룸, 자사의 데이터 센터를 갖고 있는 기업의 경우에도 매우 적은 비용으로 2차 백업 시스템을 갖게 되는것.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선택에 임할때 기업은 아무래도 가격에 먼저 시선이 집중되기 쉽상이겠지만 비즈니스에 IT를 활용하는 이상 그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에 관한 메리트를 최대한으로 갖고 있는 서비스를 선택해야 한다. 기업 IT 부분에 있어 "비싸다, 나쁘다" 보다 "어떻게 도입/활용할 것인가"라는 부분이 중요하다는 점.
시스템의 신뢰성, 가용성은 가장 중시해야 할 항목으로 SLA(서비스 레벨 보증)으로 수치화된 데이터는 물론, 유인(모니터링 요원)에 의한 데이터 센터의 감시 체제가 갖추어지고 있는가, 혹은 어느 정도의 사용자 지원 서비스가 준비되어 있는가에 주목해야 한다. BCP(사업 지속 계획)을 생각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센터의 거점 수도 포인트가 된다.
또, 정보 보안 대책에도 주목해야 한다. 어느 정도의 보안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가와 데이터 센터에 대한 공격등을 상시 유인 감시하고 있는지가 중요 지침이 될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자사에서 시스템을 운영하는 것보다도 안정적인 환경을 손에 넣을 수 있다.
비즈니스의 글로벌한 전개를 고려함에 있어서는 해외 즉, 각 지역에 가까운 데이터 센터를 이용할 수 있는지가 포인트가 된다. 비록 인터넷으로 온 세상이 연결되어 있다고 해도 물리적인 거리가 있으면 네트워크 딜레이는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현시점에서 클라우드는 누구든지, 어디서든지 이용할 수 있고, 성장하는 IT 서비스로 광대한 보급 및 정착해 나갈 것이다. 이러한 미래에 대응하여 IT 관리자라면 자사에게 필요한 클라우드 서비스는 어떤 것인가,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심도있게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랩터 애널리시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벌 IT 화두 사물인터넷, 2020년 개발자 수요는 450만명 (0) | 2015.09.15 |
---|---|
라우터 스위치 탄생 역사 및 기술 분석 (0) | 2015.09.15 |
사물 인터넷에 대응하는 포그 컴퓨팅 플랫폼 시스코 IOx (0) | 2015.09.15 |
PC 성능 저하의 원인 하드디스크 단편화 (0) | 2015.09.15 |
MS 윈도우의 25년 역사 (0) | 2015.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