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850프로 vs 마이크론MX100 vs 플렉스터 M6S vs 트렌센드 SSD370
![]() |
---|
6가지 모델의 성능 체크
![]() |
![]() |
![]() | ||
---|---|---|---|---|
CFD "S6TNHG6Q" 256GB 모델 | Crucial "MX100" 256GB 모델 | PLEXTOR "M6S" 256GB 모델 |
![]() |
![]() |
![]() | ||
---|---|---|---|---|
Samsung SSD 840 EVO 250GB 모델 | Samsung SSD 850 PRO 512GB 모델 | Transcend "SSD370" 256GB 모델 |
테스트에 사용한 하드웨어는 이하 내용, CPU와 메인보드는 일반적인 플랫폼 "Core i7-4790K"와 "Intel Z97 Express" 칩셋을 탑재한 ASRock Z97 Extreme4로 구축했다.
테스트 환경 | |
---|---|
CPU | Intel「Core i7-4790K」(4GHz/TB4.4GHz) |
머더 보드 | ASRok「Z97 Extreme4」(Intel Z97 Express) |
메모리 | PC3-12800 8GB×2 |
시스템 SSD | CFD「CSSD-S6T256NHG5Q」(256GB) |
시험 SSD | CFD「CSSD-S6T256NHG6Q」(256GB) Crucial「CT256MX100SSD1」(256GB) PLEXTOR「PX-256M6S」(256GB) Samsung「MZ-7TE250B/IT」(250GB) Samsung「SSD 850 PRO」(512GB) Transcend「TS256GSSD370」(256GB) |
그래픽스 | Intel HD Graphics 4600 |
전원 유닛 | Seasonic「SS-750KM」(750W/80PLUS GOLD) |
OS | Windows8.1 Pro(64비트) |
각종 벤치마크 측정은 6가지 모델에 아무 데이터가 없는 상태로 진행했다. 또 빌린 제품은 반드시 새 것이 아니므로 벤치마크를 실행하기 전에 각 제품의 툴 또는 TxBENCH를 사용하여 Secure Erase를 했다.
AS SSD Benchmark를 사용해 기본 성능 체크
단골 스토리지 벤치마크 CrystalDiskMark / ATTO Disk Benchmark를 실행하기 전에 먼저 AS SSD Benchmark에서 기본 성능과 Compression-Benchmark에 의한 데이터 압축률을 확인한다.
CFD「S6TNHG6Q」
![]() |
![]() |
![]() | ||
---|---|---|---|---|
Crucial「MX100」
![]() |
![]() |
![]() | ||
---|---|---|---|---|
PLEXTOR「M6S」
![]() |
![]() |
![]() | ||
---|---|---|---|---|
Samsung「SSD 840 EVO」
![]() |
![]() |
![]() | ||
---|---|---|---|---|
Samsung「SSD 850 PRO」
![]() |
![]() |
![]() | ||
---|---|---|---|---|
Transcend「SSD370」
![]() |
![]() |
![]() | ||
---|---|---|---|---|
독자 컨트롤러 Transcend도 데이터 압축률 걱정은 무용
많은 SSD가 공칭 스펙에 도달하지 않지만 불만 없는 퍼포먼스를 발휘하고 있다. 특히 삼성의 최신 SSD 850 PRO는 최고 속도를 추구하는 PC 조립 유저에 인기 있는 840 PRO의 후속 모델로 종합 벤치마크 스코어는 다른 SSD보다 높은 성능을 발휘.
신경 쓰이는 데이터 압축률은 도시바제 콘트롤러 칩 TC358790XB6을 채용한 CFD "S6TNHG6Q"가 쓰기에 약간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다만 샌드포스 계열 컨트롤러처럼 크게 떨어지지 않아 다행이다.
![]() |
Benchmark 측정은 여러 차례 했지만 CFD "S6TNHG6Q"는 쓰기 모드에 470~410MB/s 정도의 출렁임이 발생 |
삼성의 독자 컨트롤러 MEX를 채용한 "840 EVO"와 "850 PRO"가 거의 동등한 그래프가 나타나고 있다.
또 첫 Transcend제 콘트롤러 채용이라 다소 걱정됐었던 Transcend "SSD370"도 압축율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단골 "CrystalDiskMark"로 퍼포먼스 체크
이어 평범한 스토리지 벤치마크 "CrystalDiskMark"에서 각 SSD의 성능을 확인한다. 벤치마크는 데이터 용량 1000MB에서 테스트 데이터 "디폴트(랜덤)"과 압축률이 높은 "All 0×00(0Fill)","All 0xFF(1Fill)"의 3가지 종류.
또, 테스트 데이터 "디폴트(랜덤)"의 랜덤 엑세스"4K"와 "4K QD32"의 가장 높았던 IOPS 값은 별도 그래프로 정리했다.
"CrystalDiskMark" 디폴트(랜덤)
![]() |
![]() | |
CFD「S6TNHG6Q」 | Crucial「MX100」 |
![]() |
![]() | |
PLEXTOR「M6S」 | Samsung「SSD 840 EVO」 |
![]() |
![]() | |
Samsung「SSD 850 PRO」 | Transcend「SSD370」 |
「CrystalDiskMark」All 0×00(0Fill)
![]() |
![]() | |
CFD「S6TNHG6Q」 | Crucial「MX100」 |
![]() |
![]() | |
PLEXTOR「M6S」 | Samsung「SSD 840 EVO」 |
![]() |
![]() | |
Samsung「SSD 850 PRO」 | Transcend「SSD370」 |
「CrystalDiskMark」All 0xFF(1Fill)
![]() |
![]() | |
CFD「S6TNHG6Q」 | Crucial「MX100」 |
![]() |
![]() | |
PLEXTOR「M6S」 | Samsung「SSD 840 EVO」 |
![]() |
![]() | |
Samsung「SSD 850 PRO」 | Transcend「SSD370」 |
CrystalDiskMark 3.0.3 랜덤 액세스 | ||||
---|---|---|---|---|
랜덤 읽기 4KB (QD=1) |
랜덤 쓰기 4KB (QD=1) |
랜덤 읽기 4KB (QD=32) |
랜덤 쓰기 4KB (QD=32) | |
CFD「S6TNHG6Q」 | 4753.5 | 27577 | 93115.1 | 63449.6 |
Crucial「MX100」 | 6881.1 | 28640 | 89132.4 | 80385.9 |
PLEXTOR「M6S」 | 7271.5 | 23627 | 92738.1 | 83766 |
Samsung「SSD 840 EVO」 | 9081.2 | 27856.1 | 93486.5 | 75707.7 |
Samsung「SSD 850 PRO」 | 9149.7 | 29405.7 | 95550.4 | 89085.1 |
Transcend「SSD370」 | 5838.4 | 28024 | 75083.2 | 73802.7 |
최고 속도는 SSD 850 PRO, 이어 MX100과 SSD370도 매력적
2.5인치 SSD에서 최고 속도를 추구한다면 최고급 Samsung "SSD 850 PRO" 한가지 선택이며 적당한 가격대의 Crucial "MX100"과 Transcend "SSD370"도 평판대로 우수한 속도를 나타내어 "SSD370"은 시퀀셜 읽기 521MB/s로 6가지모델 중 최고 성능이다. 또 Crucial "MX100"도 Samsung "SSD 850 PRO"에 이어 높은 랜덤 쓰기 성능을 발휘하고 있다.
![]() |
Samsung SSD 850 PRO가 최고 성능 |
비용을 줄이고, 충분히 필요한 접속 속도를 가진 Crucial "MX100"과 Transcend "SSD370"은 가격을 생각하면 상당히 저렴하다.
"ATTO Disk Benchmark"로 시퀀셜 피크 성능을 테스트
이어"ATTO Disk Benchmark"를 사용해 파일 용량별 시퀀셜 읽기·쓰기 피크 성능을 확인한다.
![]() |
![]() | |
CFD「S6TNHG6Q」 | Crucial「MX100」 |
![]() |
![]() | |
PLEXTOR「M6S」 | Samsung「SSD 840 EVO」 |
![]() |
![]() | |
Samsung「SSD 850 PRO」 | Transcend「SSD370」 |
파일 용량에 따라 속도 향상
각 SSD는 대체로 공칭 스펙의 시퀀셜 액세스 속도에 이르며, 파일 용량의 크기가 커지면 동시에 속도가 향상, 128~256KB에서 읽기·쓰기도 피크 성능에 이른다.
다만 플렉스터"M6S"는 512KB~8192KB의 파일 용량 사이로 쓰기 속도가 최대 514MB/s부터 410MB/s 근처까지 위축되고 있었다. 다른 5가지 모델이 파일 용량에 따라 속도가 올라가는 그래프가 나타난 만큼 다소 아쉬운 부분이다.
![]() |
플렉스터 M6S는 쓰기 속도가 떨어진다 |
또 트리플 코어의 "MEX"를 갖춘 Samsung "SSD 850 EVO"와 "SSD 850 PRO"는 저용량 파일에서도 높은 성능을 보이는 점에 주목, 잦은 파일 읽기·쓰기를 하는 서버 및 동영상 음악 편집 등에 최적이다.
"PCMark 8"로 실제 앱으로 속도를 검증
벤치마크의 마지막은 시스템 전체의 퍼포먼스를 웹 브라우저나 Word, Excel, 포토샵 등의 동작을 바탕으로 시험해 독자적으로 나타내는 "PC Mark 8"을 사용해 검증한다. 덧붙여 측정에는 스토리지 퍼포먼스 테스트 "Storage"를 선택.
![]() |
![]() | |
CFD「S6TNHG6Q」 | Crucial「MX100」 |
![]() |
![]() | |
PLEXTOR「M6S」 | Samsung「SSD 840 EVO」 |
![]() |
![]() | |
Samsung「SSD 850 PRO」 | Transcend「SSD370」 |
최고는 박빙으로 CFD S6TNHG6Q
종합 점수와 테스트 중 전송 속도의 기준이 되는 "Storage bandwidth"는 CFD"S6TNHG6Q"가 5003점수 311.65MB/s로 Samsung "850 PRO"을 제치고 선두가 되어 있다. 다만, 각 테스트의 결과는 0.1초~1초로 박빙의 결과다.
![]() |
"Storage bandwidth"의 스코어는 CFD "S6TNHG6Q"가 1위 |
투톱 "S6TNHG6Q"과 "SSD 850 PRO" 이외에는 종합 점수가 4982, "Storage bandwidth"가 278.76MB/s의 Crucial"MX100"의 결과에 주목된다. 저렴한 가격으로 선두권에 필적하는 결과를 내고 있다.
실제 앱을 상정한 테스트에서 MX100의 코스트 퍼포먼스가 돋보인다. 메인 머신은 물론 서브 머신이나 좀 오래 된 머신의 노트 PC의 SSD화 등, 저비용으로 SSD의 고속성을 원할 때 최선이다.
현재 구매 베스트 SSD는 3강 +1
우수한 코스트 퍼포먼스와 충분히 필요한 읽기 쓰기 성능을 갖는 Crucial "MX100", 퇴근길의 술 한잔을 하루 더 참으면 구매할 수 있는 정도의 가격으로 성능과 가격의 균형이 좋은 CFD "S6TNHG6Q", 그리고 2.5인치 SSD의 최고 성능을 갖는 Samsung "SSD 850 PRO"가 3강 SSD 라인업.
![]() |
![]() |
![]() | ||
---|---|---|---|---|
우수한 코스트 퍼포먼스와 충분히 좋은 성능을 가진 Crucial"MX100" | 성능과 가격의 균형이 좋고 가격 대비 가치가 높은 CFD"S6TNHG6Q" | 2.5인치 SSD 최강 성능은 Samsung「SSD 850 PRO」 |
보도 - http://ascii.jp
'월드 벤치마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델(DELL)은 11월 17일, 13세대가 되는 델 파워엣지(Dell PowerEdge)서버 라인업에 엔트리 클래스급 신 모델 4제품을 출시했다. (0) | 2015.12.03 |
---|---|
아이폰6s CPU,GPU,스토리지 성능 벤치마크(IPHONE 6S) (0) | 2015.10.08 |
샌디스크 x300 리뷰 (0) | 2015.09.16 |
하스웰-e, 인텔 Core i7-5960X, 5930K, 5820K 벤치마크 (0) | 2015.09.16 |
삼성전자 850EVO SSD 성능 (0) | 2015.09.16 |